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뒤늦은 후회
    카테고리 없음 2024. 10. 16. 11:37
    728x90
    가수 최진희가 부른 노래 '뒤늦은 후회' 가사가 절절하다.
         창밖에 내리는 빗물 소리에 마음이 외로워져요 
         지금 내 곁에는 아무도 아무도 없으니까요 
         거리엔 스치는 바람 소리에 슬픔이 밀려와요
        눈물이 흐를 것만 같아서 살며시 눈 감았지요 
        계절은 소리 없이 가구요 사랑도 떠나갔어요 
        외로운 나에겐 아무것도 남은 게 없고요 
        순간에 잊혀져 갈 사랑이라면 생각하지 않겠어요 
        이렇게 살아온 나에게도 잘못이 있으니까요 

    연인을 떠나보낸 잘못과 후회가 가슴을 후빈다.

     

    건배사 "껄껄껄"이 있다.

    '좀 더 사랑할껄

     좀 더 즐길껄

     좀 더 베풀껄'

    "껄껄껄" 역시 하지 못한 일에 대한 후회와 아쉬움이 담겨있다.

    그 후회를 남기지 말자는 의미에서 건배사를 따라 한다. "껄~껄~껄"

     

    후회 없는 인생이 어디 있을까?

    후회하며 사는 것이 인간사 아니겠나?

    지나고 보면 후회할 일이 많고 아쉬움도 크다.

    다만, 그 후회를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해 오늘도 애쓰며 사는 것이다.

     

    인생 후반전을 살고 있는 중장년의 후회는 남다르다.

    돌이키기엔 너무 늦어버린 것 같아서.. 

    후회해 봐야 소용없을 것 같아서..

    그 후회가 더 깊다.

     

    얼마 전 엄마생신을 축하하는 가족모임을 했다. 

    부모님과 오빠들 내외, 우리 부부가 모인 저녁식사 자리였다.

    자식들 얘기부터 일가친척 소식 등 이런저런 얘기가 나왔다.

    지난겨울 결혼한 조카부부가 주말에 알바를 한다는 얘기도 들었다.

    맞벌이를 하고 있고 조카의 신랑도 직장이 괜찮은데..  무슨 알바? 

    운동 겸 주말 알바(배달)를 해서 모은 돈으로 여행을 가려고 한다는 것이다.

    결혼도 둘이 모은 돈으로 준비하고 집도 얻어서 오빠내외는 크게 신경 쓸 것이 없었다.

    기특하네..  요즘 젊은 층은 여행에는 돈을 아끼지 않는다고 하는데

    주말에 아르바이트해서 가고 싶은 곳 여행 가는 것도 의미 있는 일이라고 칭찬해 줬다..

    그렇게 알바얘기로 시작해서 우리들 노후준비 얘기로 이어졌다.

     

    "우리도 어디 알바라도 가야겠어요. 그런데 구미는 일거리가 없어요. 

     나이 제한도 걸려서 불러주는 데가 없네.." (올해 환갑인 큰 올케의 푸념이다)

    진담인지 농담인지 헷갈린다. 

    "그래요? 천안은 일거리가 많던데.. 배밭에서 일할 아줌마 구하는 구인도 많고.. 

     공장에서 일할 자리도 많던데.  당근마켓에 수시로 구인광고도 올라오고..  "

    "천안으로 이사 가야겠네. 철이아빠(큰오빠) 우리 천안 가서 아르바이트합시다."

    "나도..  나도.. " 

    여든이 훌쩍 넘은 울 엄마까지 끼어드신다. 그 연세에 아르바이트하겠다고.. ㅋㅋ

    한바탕 웃고 넘겼지만..  

    대한민국 노년층의 노후모습인 것 같아서 씁쓸했다.

     

    큰오빠는 오래전(30여 년 전) 구미에 자리를 잡았다. 

    당시만 해도 공업도시 구미에는 공장도 많았고 사람들로 넘쳐났다. 물론 경기도 좋았다.

    공단에서 서점을 했는데 제법 잘 되었다. 

    올케언니도 식당을 했는데 장사가 아주 잘 되었다.

    점심시간이면 인근 공장의 직장인들로 식당이 북새통이었다.

    "그때는 장사가 너무 잘되어서 앞치마에 현금 집어넣기 바빴어요. 

     근데 그때 왜 돈을 모으지 못했을까요? 

     아가씨(나)처럼 재테크에 관심 갖고 돈을 모았어야 했는데... "

    "아이고.. 그때 건물이라도 하나 사뒀으면 지금쯤 월세 받으면서 여유 있게 살 텐데..  왜 그러셨어요?"

    아쉬운 마음에 한 마디 했다.

    큰오빠도 내심 아쉬운 것 같았다.

     

    "물 들어올 때 노를 저어라"

     

    젊어서 돈이 잘 벌릴 때 잘 모으고 굴렸으면 지금쯤 아무 걱정이 없을 텐데..

    지금은 경기도 안 좋고 사람들도 없어서 돈을 벌고 싶어도 벌리지가 않으니..  어쩐담?

    예순을 넘긴 나이에 무엇을 해서 돈을 벌 수 있단 말인가? 

    오빠네의 깊은 속사정은 모르겠지만, 노후준비가 여유롭게 준비된 것은 아닌 듯하다.

     

    작은 오빠네 사정도 별반 다르지 않을 것이다. 

    직장의 연봉도 꽤 괜찮았는데..   노후준비를 얼마나 해뒀는지..?

    작은 오빠는 다니던 직장에서 정년퇴직 후 계약직으로 일하고 있다. 

    연봉도 많이 줄었고 (계약이 끝나는) 2년 후에는 어떻게 될지 장담하기 어렵다.

    "할 일 없으면 아파트 경비라도 하면 되지 뭐.. 국민연금도 나오고.."

    말은 그렇게 하지만 아파트 경비도 만만한 자리가 아니다. 

    그나마 국민연금은 제법 나오는 것 같은데 노후에 충족될 정도는 아닌 것 같다.

     

    오늘을 사는 60년 대생들의 모습이다.

    부모님과 자식은 부양해야 하고 내 노후는 셀프로 준비해야 한다.

    셀프부양의 시대를 사는

    마처세대(부모를 부양하는 마지막 세대이자 자식의 부양은 받지 못하는 처음 세대)다.

    신문기사에 언급되는 모습 그대로다.

     

    은퇴 준비 안된 베이비부머(2024. 9.10일 자 세계일보)

    우스개 소리도 있다.

    남편과 아내의 대단한(?) 착각에 관한 얘기다.

    은퇴한(앞둔) 남편의 착각은 

    아내가 알뜰살뜰(재테크를 잘해서) 돈을 잘 모아뒀을 것으로 기대하는 것이고

    아내는 남편이 언제까지고(오래도록) 돈을 벌어다 줄 것이라 믿는 것이다.

    착각은 착각일 뿐 현실은 다르다.

    착각에서 깨어난 현실 앞에 부부의 갈등과 고난이 시작된다.

     

    우리들(60년대생 부모세대)의 얘기를 큰아이한테 했다.

    외할머니 생신모임에서 이런 이런 얘기가 있었고 이것이 현실이라고..

    뒤늦게 후회하지 않으려면 돈 관리 잘하고 살아야 한다고..

    돈은 잘 모으는 것도 중요하지만 잘 관리하고 다루는 기술이 꼭 필요하다고

     

    부모들의 얘기를 자식들은 얼마나 공감을 할까?

    부모는 경험을 자식에게 들려주고 나누고 싶은 것인데..

     

    우리 자식들은 노후 걱정 없는 여유를 누리길 바라며

    당부의 말을 남긴다.

    "아들아, 돈 공부는 꼭 해라. 그리고 일찍부터 준비해라." 

     

     

    지금 행복하자.

    happy now

     
    LIST
Designed by Tistory.